본문 바로가기
자격증/외국어

JLPT N2 후기 (2021년 12월)

by seokseok 2022. 2. 9.

 

 

 

2021년 7월 JLPT N3 합격

2021년 12월 JLPT N2 합격

 

시험 일시: 2021년 12월 5일 일요일

 

 

 

사실 합격이라하기에 비루한 점수지만 조금이라도 도움 드리고 싶어 후기를 작성하겠습니다.

 

 

공부기간은 약 3개월 반 정도였습니다. 7월초 N3 응시한 다음 약 한달 반 정도 후에 공부 시작했었네요.

 

8월 중순 ~ 11월 초순 : 단어, 문법 위주

11월 초순 ~ 시험까지 : 단어, 문법 + 기출문제 (듣기, 청해)

 

 

총 네 파트를 공부하셔야해요.

 

1.  단어

2.  청해

3.  문법

4.  읽기

 

 

단어:  스마트폰 앱 암기고래

문법:  일본어 표현문형 500 책 (굳이 구입 안 하셔도 될 듯)

읽기 및 청해:  기출문제

 

 

문법 책을 제외하고 기본서는 따로 구입하지 않았고

공부량 70~80%는 단어, 문법 암기에 할애한 것 같습니다.

 

 

각 파트 별로 공부했던 방법은

 

1. 어휘

: 암기고래 + 시중 N2 단어들을 모두 Anki로 옮긴 후 하루에 꾸준히 30개씩 외우고 반복했습니다. 참고로 암기고래 어휘들은 2017년 JLPT까지 반영이 된 것 같습니다.

자유도가 높은 Anki 특성 상 초기에는 사용이 까다로울 수도 있으나 익숙해진다면 단연코 단어 어플 중 최고라고 생각합니다.

 

2. 청해

: 사실 가장 자신 없었고 실전에서도 확신 없이 답을 많이 택했습니다. 시험 한 달 전부터 기출문제를 풀면서 꾸준히 들었던 게 도움 되었던 것 같고 역시 청해는 평소에 꾸준히 해야한다고 봅니다.

 

3. 문법

: 단어와 마찬가지로 책에 있던 모든 문법을 Anki에 옮겨서 꾸준히 반복했습니다.

형태가 비슷하여 헷갈리는 문법은 따로 모아서 구분하며 암기했습니다.

 

4. 읽기

: 한 달 전 기출문제 풀면서 꾸준히 했었습니다. 어려운 지문만 따로 모아서 따로 읽고 속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.

N2 권장 어휘를 다 외우고 독해를 시작하는 게 좋다고 판단해서 한 달 전에 시작했었는데, N1은 공부 초기 부터 꾸준히하려고 합니다.

 

 

 

 

낮은 점수 받은 이유를 분석해보면

1. N3~N5 어휘

기출 문제에 출제된 N3~N5 어휘만 암기하자는 전략으로 접근했습니다만 생각보다 N3~N5 어휘가 언지 파트에 가끔 등장하거나 독해의 핵심 문장 일부였기에 오답의 원인이었던 것 같습니다.

 

2. 독해

가장 자신 있었는데 의외로 많이 틀렸었습니다. 한국어 독해와 마찬가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핵심 문장을 파악한 후 정확히 독해하며 선택지를 하나씩 제거해나가는 것만이 고득점으로 가는 길이라고 봅니다. 

 

 

시험 정보나 공부 방법 등은 디씨인사이드 일어갤러리 혹은 JLPT 갤러리 도움을 받았었습니다.

 

 

 

댓글